20090415_1.jpgJ일보 4월 7일자에 김 모 기자가 계룡시의회의 지난 추경예산 심의에서 계룡시 숙원사업 등의 일부 예산을 삭감했던 사실과 관련하여 적절치 못하다는 취지로 보도한데 이어, C투데이 김 모 기자도 해당 매체에 "계룡시의회 발목잡기 의정활동"이라는 제목으로 비슷한 취지의 기사가 13일자로 보도됐다.

두 매체의 기사내용을 살펴보면,  계룡시의회의 예산삭감에 대한 타당성 있는 지적으로 집행부나 주민들의 입장이 명확하게 전달됐다. 그러나 기사내용에서 (상대성 있는 대상) 시의회의 명확한 예산삭감의 사유가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즉,  시의회의 입장이 없는 편파보도에 가까워 독자들의 객관성 있는 판단이 어렵다는 뜻이다. 시의회가 인터뷰를  거부했는지, 또는 기자가 의원들의 의정활동 사실을 적시하여 i계룡신문 발행인처럼 시의원에게 명예훼손으로 고소당하기 싫어 인터뷰 요청을 하지 않았는지 알 수 없지만, 독자들은 시의원들이 어떠한 이유로 예산을 삭감했는지 궁금할 수밖에 없는 기사다.

계룡시의회는 지난 추경예산심의에서 계룡시 숙원사업 등의 예산삭감 사실들이 언론 등을 통해 광범위하게 공개가 된 이상, 시민들이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예산삭감의 근거를 명확하게 공개하여 언론에서 소모적인 논쟁이 재발하지 않도록  유도해야 한다.

대전일보는 시의회 입장(예산삭감 이유) 동시 소개하여 대조적

대전일보도 14일자로 J일보 및 C투데이와 비슷한 취지로 기사가 보도됐다. 대전일보 이영민 기자의 기사내용은 앞서 언급한 기사와는 약간 차이가 있다.

해당 기사에서 집행부의 불만이나 사업의 타당성 주장을 소개하고, (상대성 있는 대상) 계룡시의회 모 의원 입장을 인터뷰자료로 제시했다. (시민) 인터뷰 자료도 일방적인 멘트보다는 중립적 멘트를 선택하여 각 매체간 보도행위에 대조를 보였다.